人気ブログランキング | 話題のタグを見る

「昭和のまち 残った映画看板」


2018.1.15の韓訳課題 原文=朝日新聞(2017.12.16)、韓訳nishinayuu

(原文は[more]をクリックしてご覧下さい。)

[쇼와(1) 마을---살아남은 영화 간판]

오우메시의 상점가---한때 철거를 검토했으나 라는 소리가 일어나서

쇼와의 마을 내세우는 JR(Japan Railway)오우메역 주변의 상점가. 지난 가을 이 상가의 상징인 영화 간판들이 하마터면 사라질 뻔했다. 일부 옥외 간판이 바래 23년 전에 쇼와의 마을 기획한 책임자가 이제 그만둘 때라며 간판 철거를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주위에서 라는 소리가 일어나서 철거는 철회되었다. 고장에서 간판을 그려온 최후의 영화 간판 화가 창작 의욕도 아직 건재하다.

오우메가도의 상점가에는 오래된 가게들이 남아 있고 레트로한 분위기를 테마로 새마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아카츠카 후지오(赤塚不二夫, 만화작가)를 기념한 [오우메 아카츠카 후지오 회관]도 있다. 포스터를 보고 그린 덕특한 영화 간판은 1994년부터 가게의 처마등에 내걸렸고 역 구내 지하도의 벽에도 나란히 걸려 있다.

영화 간판 활용을 앞장서서 처음 기획한 사람은 [오우메 아카츠카 후지오 회관] 회장인 요코카와 히데토시씨(82). 상가가 기획한 행사에서 책임자를 맡았을 , 타케히사 유메지(竹久夢二, 미인화로 유명한 화가)의 전시회를 알리는 손으로 그린 간판이 눈에 띄었다. 그것은 20년전까지 지역의 영화관을 위해서 간판을 그렸던 구보 노보루씨(76)의 작품이었다. 작품이 지역 활성화에 도움이 거라고 생각한 요코카와씨는 다시 그려달라고 구보씨에게 부탁했다.

그로부터23. 자신이 나이 것을 고려한 요코카와씨는 봄에 구보씨에게 전화를 걸어 말했다.간판은 그만두겠다. 그런데 일주일만에 생각을 돌렸다. 간판이 바래져 버린 데다가 관리도 쉽지 않아서 철거하려고 했는데 상점가 회원들 사이에서 유지하는 것도 쉽지 않겠지만, 어떻게 해보자라며 방법을 모색하는 소리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한편 요코카와씨는 철거를 고려하면서 영화 간판 기록을 책자로 남겨 두겠다고 마음을 먹었었다. 책자의 제목은 가거라, 판관이여’. ‘판관 구보씨의 별명인데,간판 글자를 거꾸로 대신에 요코야마 타이관(橫山大觀, 일본화의 거장)에서 이라는 글자를 따서 만든 이름이다.

구보씨는 몸이 안좋아졌지만 이제 다시 그림 붓을 들었다. 영화가 전성기였던 쇼와30년대 (1955~1964), 주인공들을 그린 간판을 동경한 구보씨는 근처의 영화관에 다녔다. 그때는 중학생이던 시절, 그는 그림을 그리는 방법을 독학했고, 중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영화관을 찾아가 청했다.재료비만 받을 있으면 괜찮으니까 간판 화가로 고용해주세요라고 하면서.

당시 지역에는 영화관이 3 있었다. 매주마다 새로운 영화가 상영되었으니 3개의 영화관 모두가 문을 닫을 때까지 16 동안에 구보씨는 3000~4000점의 간판을 그렸다. 그림물감으로는 디스템퍼(2) 사용했다. 너무 바빠서 영화를 시간은 없었다.

요코카와씨와의 만남을 계기로 영화 간판 제작을 재개. 2005년에는 긴자의 영화관에도 그가 그린 간판이 걸렸다. 실은 구보씨는 영화 사내는 괴롭군 6개월 전에 처음으로 보았다. 그는 이렇게 재미있다니라며 감동을 했다고 한다.

영화 간판이 명맥을 유지하며 상점가도 유지하기 위해 모색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구보씨는 기뻐한다.영화 간판은 밖에 있어야 맛이 있구먼.

요코카와씨가 구상한 책자는 나중에 [판관과 영화 간판, 상점가가 다 들어 있는 사진집] 으로 11월 말에 완성되었다. 내용은 상점가진흥조합 30주년 기념하는 것이기도 하다. 책자의 제목은 [판관선생---쇼와의 마을 오우메와 영화 간판사], 작별의 말은 없어졌다. 책자의 가격은 1600(+소비세)으로 문의는 게야키 출판사(전화 042-525-9909)이다. (=야마우라 마사타카)

「昭和のまち 残った映画看板」_c0077412_11062687.jpg

(1)쇼와---일본의 연호. 1926~1989.

(2)디스템퍼---아교()와 카세인을 개서 만든 도료.





 「昭和のまち」を売りにするJR青梅駅周辺の商店街から今秋、象徴の映画看板が消えるかもしれなかった。屋外の看板の一部は色あせ、23年前に始めたときの責任者がそろそろ潮時と撤去を考えたからだ。だが、周囲の「待って」との声を受けて撤回した。描く地元の「最後の映画看板師」の創作意欲も健在だ。
 旧青梅街道沿いの商店街は古い町屋が残り、レトロな雰囲気をテーマとした街づくりを続ける。青梅赤塚不二夫会館もある。ポスターをもとにした独特な映画看板は1994年から商店の軒などに掲げられ、駅構内の地下道の壁にも並ぶ。
映画看板の活用を最初に企画したのは青梅赤塚不二夫会館館長の横川秀利さん(82)だ。責任者を務めた商店街の企画で、竹久夢二展の手書き看板が目にとまった。その20年前まで地元の映画館で看板を描いていた久保昇さん(76)の作品で、街おこしにと考え、再び描いて、と頼んだ。
 それから23年――。自らの高齢もあり、横川さんは今春、久保さんに電話をかけた。「看板は終わりにする」。だが、1週間で翻意した。色あせ、管理も大変になったと撤去を考えたが、商店街の仲間から「維持も簡単ではないが、なんとかならないか」と模索する声が上がったからだ。
 一方で横川さんは、撤去を考えた際に映画看板の記録を冊子に残そうと決めていた。題名は「さらば板観」。「板観」は久保さんの愛称だ。看板の漢字を入れ替え、日本画家の横山大観から一文字もらった。
 久保さんは身体を壊したが、今、再び絵筆を握っている。映画華やかなりし昭和30年代、主人公等を描いた看板に憧れて自宅近くの映画館に通った。当時、中学生。描き方を独学し、卒業を待って「材料費だけでいいから雇って欲しい」と映画館の扉をたたいた。
 地元には当時、三つの映画館があった。週替わりの上映で、すべてが閉鎖されるまでの16年間に3千~4千枚描いた。泥絵の具を使った。忙しく、映画を見る時間はなかった。
 横川さんとの出逢いで映画看板づくりを再開。2005年には銀座の映画館にも看板を掲げた。実は看板にも描いた「男はつらいよ」は半年前に初めて見た。「こんなに面白いとは」と感動したという。
 映画看板が続き、商店街も維持に向けて模索してくれていると聞いて喜ぶ。「映画看板は外にあってなんぼだからな」
 横川さんが構想した冊子はその後、板観と映画看板、商店街をまとめた写真集となり、11月末に完成した。商店街振興組合の30周年も記念する内容だ。題は「板観さん 昭和のまち青梅と映画看板師」で、惜別の言葉は消えていた。写真集は1600円(税別)で、問い合わせは、けやき出版(電話042・525・9909)へ。(山浦正敬)


Commented by マリーゴールド at 2020-04-08 20:36 x
懐かしい!
名前
URL
削除用パスワード

※このブログはコメント承認制を適用しています。ブログの持ち主が承認するまでコメントは表示されません。

by nishinayuu | 2020-04-06 11:08 | 翻訳 | Trackback | Comments(1)

読書と韓国語学習の備忘録です。


by nishinayuu